information/정부지원정책

농어촌 주민·귀농귀촌인을 위한 정부지원금 총정리 (2025년 최신)

yuu_egg 2025. 4. 15. 21:52
728x90

최근 도시생활을 떠나 자연 속에서의 삶을 택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어요.

하지만 막상 농어촌으로의 전환을 꿈꾸다 보면 가장 먼저 부딪히는 건 실제로 자금과 정착지원입니다.

다행히 정부와 지자체는 귀농귀촌인의 안정적인 정착, 농업 창업, 주택 마련 등을 돕기 위해 다양한 맞춤형 지원제도를 운영 중이에요.

오늘은 귀농귀촌인 및 농어촌 거주민을 위한 핵심 정부지원금 6가지를 알려드릴게요.



1. 귀농 창업 및 주택자금 융자 지원

• 대상: 농촌 외 지역에서 농촌으로 이주하려는 사람 중 일정 교육 이수자
• 지원내용:
• 창업자금: 최대 3억 원(연리 1.5%, 5년 거치 10년 상환)
• 주택구입자금: 최대 7,500만 원
• 신청처: 농림축산식품부 / 각 지역 농업기술센터
• 특징: 만 65세 미만, 귀농 교육 100시간 이상 수료 필수



2. 청년농 창업자금 및 영농정착지원금

• 대상: 만 18세~39세 이하 청년 중 농업 창업 의지가 있는 자
• 지원내용:
• 월 최대 110만 원, 최장 3년간 지원
• 창업 기반 시설 설치비, 영농교육 지원
• 신청처: 농림사업정보시스템
• 특징: 경쟁률 높아 선발제 / 사업계획서 및 면접심사 필수



3. 농촌주택개량 융자지원

• 대상: 농촌 지역에 실제 거주 중인 자 또는 예정자
• 지원내용:
• 주택 개량비 최대 2억 원 융자(연리 2%)
• 노후주택 철거비 포함, 신축 가능
• 신청처: 시·군청 건축부서
• 특징: 일정 소득 및 자산 기준 충족 시 우선 선정



4. 귀촌인 지역활력화 지원 (지자체별 상이)

• 대상: 농촌 정착 후 5년 이내 귀촌가구
• 지원내용:
• 마을활동비, 공동체 프로그램 참여 지원
• 생활안정비, 문화활동비 등
• 신청처: 각 지자체 귀농귀촌 담당 부서
• 참고: 강원도, 전북, 경북 등 지역별 특화지원 운영



5. 농어촌희망재단 장학금

• 대상: 농어촌 자녀 또는 농업 관련 전공 대학생
• 지원내용:
• 등록금 전액 또는 반액 지원
• 학기별 100만~300만 원 생활비 추가 지급
• 신청처: 농어촌희망재단
• 신청시기: 매 학기, 12월 및 78월



6. 귀농귀촌 교육 및 멘토링 프로그램

• 대상: 귀농귀촌 희망자 또는 초기 정착자
• 지원내용:
• 농업기술, 창업실무, 주택관리 등 단계별 교육
• 선배 귀농인과 1:1 멘토링
• 신청처: 귀농귀촌종합센터 또는 시·군 농업기술센터

참고사이트: 귀농귀촌종합센터


1. 농림사업정보시스템 (청년농 영농정착지원금 등 신청)
▶︎ https://www.agrix.go.kr

 

https://www.agrix.go.kr

www.agrix.go.kr

2. 농어촌희망재단 장학금 신청
▶︎ https://www.rhof.or.kr

 

한국농어촌희망재단

농어촌 지역의 소멸 위기극복과 지속 가능한 미래, 상생기금과 다양한 지원 사업으로 희망을 이어갑니다. 어업인 장학금, 상생기금, 돌봄지원 공익사업... --> 농어촌의 아름다운 미래를 위해 한

www.rhof.or.kr

3. 귀농귀촌종합센터 (교육·멘토링·정책 안내)
▶︎ https://www.returnfarm.com

 

https://www.returnfarm.com

www.returnfarm.com

4. 농림축산식품부 (귀농창업자금, 귀촌정책 총괄)
▶︎ https://www.mafra.go.kr

 

site move

www.mafra.go.kr

5. 주거환경 개선 및 농촌주택개량 사업 (지역 시·군청 담당 부서 공지 참고)
▶︎ 해당 지역 시·군청 홈페이지 또는
▶︎ 농촌주택개량 안내: https://www.lh.or.kr
일부위탁운영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www.lh.or.kr


6. 지자체별 귀촌지원 정책 (예: 강원도 귀농귀촌센터)
▶︎ 예시: 강원귀농귀촌지원센터 – https://www.returnfarm.co.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