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하게 신혼생활을 시작했지만, 현실은 생각보다 팍팍합니다.
집 구하고, 아이 키우고, 전기·가스요금까지...
고정 지출이 눈덩이처럼 불어나죠..
다행히 정부에서는 신혼부부와 다자녀 가정을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요.
오늘은 2025년 기준, 놓치기 쉬운 정부지원금 제도 5가지를 소개합니다!
⸻
1.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버팀목 전세자금)
• 대상: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 또는 예비부부
• 한도: 수도권 최대 2억 원 / 비수도권 최대 1.6억 원
• 금리: 연 1.2~2.1% (소득 및 자녀 수에 따라 차등)
• 특징: 자녀 수 많을수록 금리 우대 및 한도 상향
• 신청: 은행 or 주택도시기금
• 공식 출처: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 주택도시기금
https://www.nhf.or.kr/nhf/apply/lendFund/oneLendFund/view.do?seq=16
2. 다자녀 가구 특별공급 (공공/민영 아파트)
• 대상: 만 19세 미만 자녀 3명 이상 무주택 가구
• 내용: 공공 및 민영 아파트 청약 시 특별공급 우선 혜택
• 주의: 지역별, 단지별 공급 물량 및 경쟁률 상이
• 신청: LH 청약센터, 민간 분양 청약 사이트
• 공식 출처: LH 청약센터 https://apply.lh.or.kr
3. 다자녀 전기·가스요금 감면
• 대상: 주민등록상 자녀 3명 이상 가구
• 혜택:
• 전기요금 감면 (월 최대 1만6천 원)
• 도시가스요금 감면 (월 10,000원~20,000원)
• 신청: 한국전력/지역 도시가스사 고객센터
• 공식 출처:
한국전력 다자녀 요금 감면
https://home.kepco.co.kr/kepco/MAIN/main.do
도시가스 요금 감면 안내 (복지로)
https://www.bokjiro.go.kr
4. 아이돌봄서비스 정부 지원
• 대상: 맞벌이, 한부모, 다자녀 가정
• 지원 내용: 시간제/종일제 돌봄 서비스 이용 시 비용 40~90% 지원
• 신청 방법:
• 아이돌봄 홈페이지 https://www.idolbom.go.kr
•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 특징: 자녀 수 많을수록 높은 지원 비율 적용
• 공식 출처: 아이돌봄서비스 - 여성가족부
https://www.idolbom.go.kr
5. 출산지원금 및 육아수당 (국가 + 지자체)
기본 지원 (2025년 기준)
• 첫만남이용권: 1인당 200만 원 일시금
• 영아수당: 월 30만 원 (0~1세 대상)
• 지자체별 추가 지원:
• 일부 지자체는 첫째 100만 원, 셋째 이상 500만 원 이상 지급
• 신청 방법:
•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
• 공식 출처: 복지로 - 출산지원금 안내
https://www.bokjiro.go.kr
이렇게 많은 제도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신청자격만 갖추면 누구나 받을 수 있지만, 몰라서 못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시간이 날 때, 지금 바로 복지로나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본인에게 해당되는지 확인해시고
꼭꼭 챙겨가세요!
이 글은 공공데이터포털, 복지로, 주택도시기금, 아이돌봄서비스 등 공식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정책은 지역/가구 소득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정확한 내용은 관할 지자체 또는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information > 정부지원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생·취준생을 위한 정부지원금 총정리 (2025년 최신) (1) | 2025.04.15 |
---|---|
경력단절여성과 한부모가정이 꼭 알아야 할 정부지원금 (2025년 최신) (2) | 2025.04.14 |
노인·장애인도 신청 가능한 정부지원금 총정리 (2025년 최신) (0) | 2025.04.14 |
청년이 받을 수 있는 취업·주거 지원금 총정리 (2025년 최신) (2) | 2025.04.14 |
소상공인이 꼭 알아야 할 정부지원금 5가지 (2025년 최신 정리) (2)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