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가사와 돌봄은 우리 일상에서 꼭 필요한 영역이지만, 여전히 많은 분들이 이 지원제도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계세요. 특히 돌봄이 필요한 가족이 있거나,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분들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정부의 가사·돌봄 지원 제도를 정리해봤습니다.
1. 아이돌봄서비스 바우처 지원
맞벌이·한부모·장애인 가정 필수 혜택
- 지원대상: 만 12세 이하 아동을 둔 맞벌이·한부모·장애부모 가정
- 지원내용: 정부에서 가사·육아 돌보미 비용 일부 또는 전액 지원
- 바우처 금액: 월 최대 264시간 이용 가능
- 본인부담금: 소득 기준에 따라 15~85% 차등 부담
- 신청처: 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 추가 혜택: 긴급·일시 돌봄도 가능
2. 가족돌봄휴가비 지원
가족 간병·아동 돌봄에 필요한 유급 휴가비
- 지원대상: 고용보험 가입자 중 가족 돌봄휴가를 사용하는 근로자
- 지원내용:
- 하루 5만 원씩, 최대 10일간 50만 원 지급
- 지원조건: 연간 가족돌봄휴가 10일 중 일부 사용 시
- 신청처: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 고용보험 누리집
3. 노인돌봄 종합서비스
어르신 일상 돌봄까지 국가가 지원
- 지원대상: 65세 이상 어르신 중 돌봄이 필요한 경우
- 서비스내용: 가사 지원(청소, 식사, 세탁 등), 정서 지원, 건강관리 등
- 지원방식: 월 최대 27시간~36시간까지 돌봄 인력 파견
- 본인부담금: 소득 수준에 따라 월 9,000원~22만 원
- 신청처: 주민센터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4. 장애인가구 활동지원서비스
장애인 및 가족을 위한 가사·돌봄 지원
- 지원대상: 등록 장애인 중 일상생활 도움 필요한 경우
- 지원시간: 중증 장애인의 경우 월 최대 480시간 지원
- 서비스내용:
- 가사 지원, 식사·세면·외출 보조, 정서적 돌봄
- 본인부담금: 소득 구간별 차등 적용
- 신청처: 국민연금공단 또는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5. 지자체별 가사돌봄 서비스 (예: 서울시 돌봄SOS센터)
지역에 따라 추가 지원 혜택 가능
- 서비스 유형: 가사·간병, 일시적 육아, 병원 동행 등
- 이용 방법:
- 서울시: 120 다산콜센터 / 동주민센터 접수
- 기타 지역: 시군구청 홈페이지 확인
- 바우처 또는 실비로 지원 가능
가사와 돌봄이 필요한 가정이라면, 정부가 마련한 다양한 맞춤형 지원을 꼭 활용하세요.
소득 기준이 있다 해도 완전 무상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만큼, 지금 바로 확인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728x90
'information > 정부지원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창업 정부지원금 총정리 (2024~2025 최신) (0) | 2025.04.19 |
---|---|
1인 가구를 위한 정부지원금 총정리 (2025년 최신) (1) | 2025.04.18 |
재난·재해 피해자 긴급 정부지원금 총정리 (2025년 최신) (0) | 2025.04.18 |
청소년·학생을 위한 교육·생활 지원금 총정리 (2025년 최신) (1) | 2025.04.16 |
몰라서 못 받는 긴급복지지원제도 총정리 (2025년 최신)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