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정부지원정책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디지털 기기·교육 지원제도 총정리 (2024~2025년 최신)

yuu_egg 2025. 4. 22. 07:30
728x90

최근 비대면 서비스와 디지털 기술의 활용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다양한 지원 정책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어르신, 장애인, 저소득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디지털 기기 지원디지털 역량 교육 프로그램이 확대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2024~2025년 기준으로 적용되는 주요 정책들을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디지털 취약계층이란?

디지털 기기 사용이나 정보 접근에 어려움을 겪는 계층을 의미하며, 보통 다음과 같은 대상이 포함됩니다.

  • 고령자 (만 65세 이상)
  • 장애인
  • 저소득층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 농어촌 거주자
  • 저학력자 등

1. 디지털 기기 보급 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디지털 배움터 사업

  • 지원 내용: 태블릿,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 무상 대여 또는 지원
  • 지원 대상: 디지털 역량교육 수료자,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 신청 방법: 주민센터 방문 또는 디지털배움터 접속 후 신청

디지털배움터 홈페이지
https://www.디지털배움터.kr


2.디지털 역량 교육

▶ 전국 디지털 배움터 운영

  • 교육 내용: 스마트폰 사용법, 앱 설치, 키오스크 이용법, 온라인 민원 처리 등
  • 수강료: 전액 무료
  • 교육 장소: 주민센터, 도서관, 복지관 등
  • 신청 방법: 배움터 홈페이지 또는 현장 접수

교육 검색 및 신청:
https://www.디지털배움터.kr


3. 어르신 대상 스마트폰 활용 교육

  • 운영 주체: 통신사 및 지자체 (KT, SKT, LGU+ 등)
  • 내용: 문자 보내기, 사진 전송, 카카오톡 사용법 등
  • 신청 방법: 통신사 고객센터 또는 각 지자체 노인복지관

4. 장애인·고령층 대상 디지털 기기 맞춤형 교육

  • 운영기관: 국립특수교육원, 시각장애인연합회 등
  • 내용: 화면 읽기 앱, 음성 인식, 확대 기능 등 맞춤형 활용법
  • 지원 형태: 개별 방문 교육 또는 그룹 교육

5. 지자체별 추가 지원 제도

지자체별로 독자적인 디지털 지원정책을 운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시:

  • 서울시: 디지털 돌봄 매니저가 직접 방문해 스마트폰 사용 도와주는 서비스
  • 경기도: 독거노인을 위한 AI 스피커 보급 사업

각 지자체 홈페이지 참고 (예: 서울시청, 경기도청)


디지털 시대에 정보 접근은 생활의 필수 조건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정부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우리 가족이나 주변에 해당하는 분들이 있다면 무료 교육과 기기 지원 프로그램을 꼭 알려주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