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최근 비대면 서비스와 디지털 기술의 활용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다양한 지원 정책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어르신, 장애인, 저소득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디지털 기기 지원과 디지털 역량 교육 프로그램이 확대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2024~2025년 기준으로 적용되는 주요 정책들을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디지털 취약계층이란?
디지털 기기 사용이나 정보 접근에 어려움을 겪는 계층을 의미하며, 보통 다음과 같은 대상이 포함됩니다.
- 고령자 (만 65세 이상)
- 장애인
- 저소득층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 농어촌 거주자
- 저학력자 등
1. 디지털 기기 보급 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디지털 배움터 사업
- 지원 내용: 태블릿,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 무상 대여 또는 지원
- 지원 대상: 디지털 역량교육 수료자,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 신청 방법: 주민센터 방문 또는 디지털배움터 접속 후 신청
디지털배움터 홈페이지
https://www.디지털배움터.kr
2.디지털 역량 교육
▶ 전국 디지털 배움터 운영
- 교육 내용: 스마트폰 사용법, 앱 설치, 키오스크 이용법, 온라인 민원 처리 등
- 수강료: 전액 무료
- 교육 장소: 주민센터, 도서관, 복지관 등
- 신청 방법: 배움터 홈페이지 또는 현장 접수
교육 검색 및 신청:
https://www.디지털배움터.kr
3. 어르신 대상 스마트폰 활용 교육
- 운영 주체: 통신사 및 지자체 (KT, SKT, LGU+ 등)
- 내용: 문자 보내기, 사진 전송, 카카오톡 사용법 등
- 신청 방법: 통신사 고객센터 또는 각 지자체 노인복지관
4. 장애인·고령층 대상 디지털 기기 맞춤형 교육
- 운영기관: 국립특수교육원, 시각장애인연합회 등
- 내용: 화면 읽기 앱, 음성 인식, 확대 기능 등 맞춤형 활용법
- 지원 형태: 개별 방문 교육 또는 그룹 교육
5. 지자체별 추가 지원 제도
지자체별로 독자적인 디지털 지원정책을 운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시:
- 서울시: 디지털 돌봄 매니저가 직접 방문해 스마트폰 사용 도와주는 서비스
- 경기도: 독거노인을 위한 AI 스피커 보급 사업
디지털 시대에 정보 접근은 생활의 필수 조건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정부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우리 가족이나 주변에 해당하는 분들이 있다면 무료 교육과 기기 지원 프로그램을 꼭 알려주세요.
728x90
'information > 정부지원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부모급여·육아휴직급여·영아수당 등영유아 양육 정부지원 총정리 (2025년 최신) (0) | 2025.04.22 |
---|---|
예술인·프리랜서·플랫폼 노동자 대상 정부지원 총정리 (2024~2025 최신) (0) | 2025.04.22 |
다자녀 가구 기준 완화! 2자녀부터 혜택받는 2024~2025 정부지원 총정리 (0) | 2025.04.21 |
문화·체험비, 스포츠강좌 등 여가생활 정부지원 총정리 (2024~2025년 최신) (0) | 2025.04.21 |
전기차·수소차 구매보조금 및 충전 인프라 지원제도 총정리 (2024~2025 최신)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