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정부지원정책

무주택자 대상 전세자금·월세 지원 제도 총정리 (2025년 최신)

yuu_egg 2025. 4. 23. 14:05
728x90

무주택자라면 한 번쯤은 고민해보는 주거 비용. 전세자금과 월세 부담을 줄여주는 정부지원제도는 조건만 맞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어요. 오늘은 2025년 기준, 무주택자를 위한 전세자금·월세 지원 제도를 총정리해드릴게요.


1. 청년 전세자금 대출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 대상: 만 19세~34세 이하의 무주택 청년
  • 소득 조건: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 지원 내용:
    • 전세보증금 최대 7천만 원~1억 원까지 대출
    • 연 1.2~2.1% 저금리 적용
  • 운영 기관: 주택도시기금(HUG)
  • 신청 방법: 기금e든든 

2. 청년 월세 특별지원 (2025년 한시 지원)

  • 대상: 만 19~34세 무주택 청년, 소득 60% 이하
  • 지원 내용:
    • 월 최대 20만 원까지 12개월간 월세 지원
    • 계좌로 직접 입금
  • 신청 방법: 거주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

3.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 대상: 혼인 7년 이내 부부 (예비부부도 포함)
  • 소득 요건: 합산 연소득 7천만 원 이하
  • 대출 한도: 최대 2억 원까지 가능 (지역별 차이 있음)
  • 금리: 연 1.2%~2.1% 수준
  • 신청처: 은행, 주택도시기금 연계
  • 기금e든든 

4. 저소득층 주거급여 (임차급여)

  • 대상: 기준 중위소득 47% 이하 무주택 가구
  • 지원 내용:
    • 지역과 가구원 수에 따라 차등 지급
    • 보증금, 월세 지원
  • 신청처: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5. 대학생·청년 대상 매입임대/전세임대주택

  • 지원 내용:
    •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 등에서 공급
    • 시세의 30~50% 저렴한 임대료
  • 신청처:

2025년에도 무주택자를 위한 다양한 주거 지원이 준비되어 있어요. 특히 청년, 신혼부부, 저소득층, 1인가구등 각각에 맞는 제도가 마련돼 있으니, 자격 요건을 꼼꼼히 확인해보고 꼭 신청해보시길 바랍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