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정부지원정책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정부지원제도 총정리 (2025 최신)

yuu_egg 2025. 4. 24. 21:30
728x90

학교 밖 청소년, 어디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 2025년 기준으로 학교에 다니지 않는 청소년(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정부지원제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의 정의부터, 받을 수 있는 지원제도, 신청 방법까지 총정리해드립니다.


학교 밖 청소년이란?

학교 밖 청소년은 "초ㆍ중등교육법"에 따라 입학은 했지만 자퇴 또는 미진학 등의 사유로 학교 교육을 받지 않는 만 9세 이상 24세 이하의 청소년을 말합니다.

- 2024년 기준 약 29만 명(여성가족부 통계)이 존재하며, 이들을 위한 보호와 지원이 사회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2025년 주요 정부지원제도

  1.  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프로그램
    • 검정고시 준비반 운영 (교재 및 강의 제공)
    • 상담·진로설계·자립 역량 프로그램 제공
    • 월 20만원 내외의 활동비 지원 가능
  2.  자립지원금 및 생활비 지원
    • 한부모·취약가구 청소년의 경우 월 30만원 내외 자립지원금 신청 가능
    • 통신비·교통비 등 실생활 밀착형 지원 포함
  3.  취업연계 프로그램
    • 한국산업인력공단, 직업전문학교와 연계한 기초직무교육 + 취업매칭
    • 내일이룸학교, 위기청소년 직업훈련 등 포함
  4.  건강검진 및 심리상담 지원
    • 건강검진(연 1회), 정신건강 지원 상담 무료 제공
    • 전문기관 연계 심리상담 및 치료비 일부 지원
  5.  지자체별 맞춤형 프로그램
    • 서울: '학교 밖 청소년 바우처카드' (문화활동비 지원)
    • 부산: 검정고시 응시료 전액 지원
    • 광주: 자립형 숙소 운영 (자립준비청년 우대)

신청 방법 및 기관 안내

  • 여성가족부 꿈드림 포털: https://www.kdream.or.kr
  • 지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또는 꿈드림 센터 방문 접수
  • 지자체 주민센터를 통한 생활비 지원 연계

구분주요 내용

학습 지원 검정고시 준비반, 교재, 강의 무료
자립·취업 직업훈련, 진로상담, 자립생활비
건강·상담 건강검진, 심리상담 무료 제공
문화·여가 지역별 문화비·바우처 제공

본 내용은 2025년 여성가족부 및 지자체 지원 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지역별 상세한 내용은 가까운 청소년지원센터를 통해 확인하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