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학교 밖 청소년, 어디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 2025년 기준으로 학교에 다니지 않는 청소년(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정부지원제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의 정의부터, 받을 수 있는 지원제도, 신청 방법까지 총정리해드립니다.
학교 밖 청소년이란?
학교 밖 청소년은 "초ㆍ중등교육법"에 따라 입학은 했지만 자퇴 또는 미진학 등의 사유로 학교 교육을 받지 않는 만 9세 이상 24세 이하의 청소년을 말합니다.
- 2024년 기준 약 29만 명(여성가족부 통계)이 존재하며, 이들을 위한 보호와 지원이 사회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2025년 주요 정부지원제도
- 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프로그램
- 검정고시 준비반 운영 (교재 및 강의 제공)
- 상담·진로설계·자립 역량 프로그램 제공
- 월 20만원 내외의 활동비 지원 가능
- 자립지원금 및 생활비 지원
- 한부모·취약가구 청소년의 경우 월 30만원 내외 자립지원금 신청 가능
- 통신비·교통비 등 실생활 밀착형 지원 포함
- 취업연계 프로그램
- 한국산업인력공단, 직업전문학교와 연계한 기초직무교육 + 취업매칭
- 내일이룸학교, 위기청소년 직업훈련 등 포함
- 건강검진 및 심리상담 지원
- 건강검진(연 1회), 정신건강 지원 상담 무료 제공
- 전문기관 연계 심리상담 및 치료비 일부 지원
- 지자체별 맞춤형 프로그램
- 서울: '학교 밖 청소년 바우처카드' (문화활동비 지원)
- 부산: 검정고시 응시료 전액 지원
- 광주: 자립형 숙소 운영 (자립준비청년 우대)
신청 방법 및 기관 안내
- 여성가족부 꿈드림 포털: https://www.kdream.or.kr
- 지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또는 꿈드림 센터 방문 접수
- 지자체 주민센터를 통한 생활비 지원 연계
구분주요 내용
학습 지원 | 검정고시 준비반, 교재, 강의 무료 |
자립·취업 | 직업훈련, 진로상담, 자립생활비 |
건강·상담 | 건강검진, 심리상담 무료 제공 |
문화·여가 | 지역별 문화비·바우처 제공 |
본 내용은 2025년 여성가족부 및 지자체 지원 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지역별 상세한 내용은 가까운 청소년지원센터를 통해 확인하세요.
728x90
'information > 정부지원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한부모 가정 지원제도 총정리 (최신판) (1) | 2025.04.26 |
---|---|
실직·퇴직자를 위한 생계지원 제도 총정리 (2024~2025년 최신) (0) | 2025.04.25 |
고령운전자 대상 운전면허 갱신·안전교육 지원제도 총정리 (2024~2025 최신) (0) | 2025.04.23 |
무주택자 대상 전세자금·월세 지원 제도 총정리 (2025년 최신) (0) | 2025.04.23 |
산후조리비 및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총정리 (2024~2025 최신) (1) | 2025.04.22 |